한찬욱 (사월혁명회 사무처장)
등록일 : 2023.08.31

관동대학살2.jpg

 

내일은 간토(關東)학살 100주기이다.

1923년 9월 1일 토요일 11시 58분, 도쿄(東京)와 요코하마(橫浜)를 중심으로 간토 일대에서 진도 7의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다. 

불행하게도 취사를 위해 불을 많이 사용하는 점심 무렵이어서, 대형 화재로 번져 9월 3일 아침까지 간토 일대는 화염에 휩싸였다. 10만 5,000여 명의 사망자와 행방불명자가 발생했으며, 69만 호에 이르는 가옥이 파괴되는 엄청난 재앙이었다.  

당시 일본에 거주하는 조선인 인구는 10만 명에 달했다.

 

일제의 조선토지조사사업과 농촌 경제의 파탄 그리고 농민의 도일(度日) 

 

한반도를 강점한 일본은 조선의 토지를 수탈하기 위해, 1910년 9월 임시토지조사국을 설치하고, 1912년에는 조선토지조사사업을 1918년까지 시행한다. 

그리고 조선의 토지를 대량 약탈하여 ‘국유지’ 즉 조선총독부 소유지로 만들었고, 일본인을 대거 조선에 이민시켜 약탈한 토지를 불하하고 일본인 지주를 양산했다.

또한, 일제는 조선 지주층 특히 신흥 지주층을 포섭하고 그들을 통해 소작농을 통제하도록 했다.

조선은 자연히 지주와 소작농의 수가 급증하고, 농촌은 파산되어 떠도는 농민이 늘어났다. 소작농은 실제로 농사를 지어도 먹고살 수 없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일본으로 건너가 노동시장으로 유입된다.

1920년대 초 ‘여행증명서' 제도가 1922년 들어 '자유도항제'로 바뀌면서 일본으로 가는 조선인들은 더 늘어났다.

일본은 근대산업 발전과 도시가 건설됨에 따라 토목공사가 늘어나고 공장이나 탄광, 광산 등지에서 저임금 노동자가 필요했다.

토목건축 같은 야외 노동에서는 일본인보다 임금에 큰 차별을 둘 수 없지만, 공장에서는 미숙련 노동자를 조선인으로 대체해 저임금으로 착취했다. 

일본의 자본가는 저렴한 임금과 동시에 일본인이 꺼리는 위험하고 열악한 노동 조건을 강요할 수 있는 식민지노동력, 특히 조선인을 선호했다.

 

일본의 의병 투쟁과 3·1혁명에 대한 두려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엽까지 조선에서는 일본의 침략에 저항하는 ‘의병 투쟁’이 전개된다. 1907년부터 1910년까지 의벙 전사자 수가 1만 7,779명(조선폭도토벌지)에 달하는 등 조선인의 저항은 격렬했다.

박은식은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서 의병장들의 인물상을 소개하는데, 그 가운데 두드러진 인물이 홍범도다.

“홍범도는 평안도 양덕 사람인데, 이사하여 함경도 갑산에 우거하면서 사냥꾼 노릇을 하였다. 그는 체격이 현칠하고 의지와 기개가 헌거로웠으며, 비록 글은 배우지 못하였으나 천성적인 의협심이 있어, 남 도우는 일에 앞장섰으므로 사람들이 많이 따랐다”

일본은 조선을 식민 지배하면서 조선인을 열등한 존재로 깔보면서 멸시했다.

그러나 3·1혁명은 일본을 공포케 했다.

조선인은 일본이 시키는 대로 복종을 감수하는 노예 민족이 아니며, 어떠한 폭압 정치에도 굴하지 않고 자주독립을 위해 기꺼이 목숨을 바쳐 싸울 용기가 있음을 3·1혁명은 보여주었다.

3·1혁명의 치열함에 두려움을 느낀 일본은 <무단통치>를 중단하고 <문화통치>로 전환한다.

이것은 3·1혁명에서 흘린 피의 대가요 쟁취한 귀중한 성과였다.

그리고 의혈 투쟁이 3·1혁명 이후 주요한 투쟁 방식으로 자리 잡는다. 

이런 저항과 투쟁이 일본으로 하여금 조선인을 멸시하고 깔보면서도, 한편 위험한 존재로 여기게 된다.

 

강우규_의사_국가보훈처.png
 강우규 의거는 우리 독립운동사상 최고령자의 폭탄 투척 의거였다. 1920년 11월 29일 오전 10시 30분, 서대문형무소 형장에서 사형집행으로 ‘백발의 독립투사’ 강우규(1855~1920) 의사가 순국했다. 1919년 9월, 남대문 정거장(지금의 서울역)에서 폭탄 거사를 감행한 지 14개월 만이었다. 그는 처형 직전에 유언 대신 ‘사세시’ 한 수를 남겼다.  “단두대에 홀로 서니 춘풍이 감도는구나. (斷頭臺上 猶在春風) 몸은 있되 나라가 없으니 어찌 감회가 없으리오. (有身無國 豈無感想)”

 

I4BSVZBM3N3PTVQKQ2TDNINZOY.jpg
서울역에 있는 강우규 의사 동상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의 원흉 미즈노와 강우규 열사

 

간토대지진 당시 일본 정부의 내무대신은 미즈노 렌타로(水野錬太郎), 경시총감은 아케이케 아쯔시(赤池濃) 였다.

미즈노는 3·1혁명 직후인 1919년 9월 사이토 마코토(齋藤實) 총독의 정무총감으로 총독과 함께 서울역에 내렸을 때 강우규 의사의 폭탄 세례를 받았던 사람이다. 아케이케는 이 미즈노에 의해 총독부 경무국장에 기용된 인물이다.

강우규 의사는 1920년 2월 25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은 이후 곁에 있던 아들 강중근에게 말을 남긴다.

“내가 죽는다고 조금도 어쩌지 말라. 내 평생 나라를 위해 한 일이 아무것도 없음이 도리어 부끄럽다. 내가 자나 깨나 잊을 수 없는 것은 우리 청년들의 교육이다. 내가 죽어서 청년들의 가슴에 조그마한 충격이라도 줄 수 있다면 그것은 내가 소원하는 일이다.”

당시 66세인 강우규의 의거는 3·1혁명 직후의 대표적인 독립운동으로 1920년대의 의열단 투쟁에 큰 영향을 미쳤다.

김원봉은 본격적인 의열투쟁을 위해 1919년 11월에 의열단을 결성한다. 실패와 처절한 성공 가운데 의거는 계속되어 조선인의 기개를 떨쳤다. 또한 신채호가 작성한 조선혁명선언은 의열단의 정신이 된다.

이후 일본 정부는 간토대지진 이후 비탄과 절망에 빠진 민중들이, 정부에 대한 분노로 폭발하기 전에 터뜨릴 곳을 찾았다.

 

96_a.jpg
관동대지진 당시 일본 경찰 및 자경단의 조선인 학살.(왼쪽) 일본 치안당국은 터무니없는 유언비어를 만들어 각 신문사로 보냈다.(오른쪽)

 

일본의 군대, 경찰, 자경대를 총동원한 조선인 학살

 

미즈노 내상은 칙령으로 계엄령을 선포한다.

그리고 걷잡을 수 없이 퍼져가는 유언비어와 사회적 불안 그리고 공포를 무마하려고, 사회주의자들과 아나키스트를 체포하여 속죄양으로 삼는다. 
 
9월 1일 밤, 일본 경시청은 사회주의자들과 아나키스트들을 일단 유언비어의 진원지로 지목하고, 폭동 진압 명분으로 제일 먼저 긴급 체포하고 투옥했다. 

경시청은 조선인 무정부주의자인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金子文子, 朴文子)가 천황 암살 음모를 꾸몄다며 체포하면서 <대역사건(大逆事件)>으로 만들었다.

 

또한 일본의 유명한 무정부주의자 오스기 사카에(大杉榮)와 연인 무정부주의자인 이토 노에(伊藤野枝)를 체포해 도쿄 헌병대본부에서 학살했다. 심지어 같이 연행된 여섯 살짜리 조카도 무자비하게 살해했다.

중국인도 약 200명이 군대에 의해 참살당했다.

그리고는 특히, 조선인을 폭동 주범으로 몰아갔다.

 

‘조선인이 방화하고 있다’, ‘조선인이 우물에 독약을 풀고 있다’, ‘조선인이 부녀자를 강간하고 있다’, ‘조선인이 폭탄을 갖고 습격해 온다’라는 등의 너무나 악의적인 유언비어는 일본인을 극도의 공포로 몰아갔다. 

 

또한, 조선인을 찾아내기 위해 일본어의 ‘ら(라) 행(行)’ 발음과 일본어의 탁음 발음-예를 들면 ‘15엔 55센(十五円 五十錢, 쥬고엔 고짓센)’-을 발음토록 하여 발음이 시원치 않으면 학살의 대상으로 삼았다. 

군대는 경찰 및 각 정내의 자경단과 함께 도쿄(東京)를 비롯하여 카나가와(神奈川) 지바(千葉) 등에서 6천여 명의 조선인을 살해했다.

 

특히 학살 방식은 너무도 잔혹했다. 

여성을 죽창으로 찌른다든가 배를 눌러 내장을 뽑아내는 극악무도한 짓을 자행하였다. 민족 차별뿐만 아니라 이런 성적 차별은 일본군위안부 문제로까지 이어진다. 

 

간토대지진 학살 원흉은 일본 정부다!

 

조선인에 대한 학살이 자행되자 상해 임시정부는 그 진상을 조사했다. 

당시 임시정부가 간행하는 독립신문은 조선인 학살자 수를 6,000여 명에서 1만 3,000명, 많게는 2만 1, 600명이라고 보도했다. 

이후 재일사학자 강덕상의 연구로 6,661명이 학살되었다고 하지만 아직 정확한 학살 숫자는 규명되지 못하고 있다. 

북은 일본 정부가 유언비어를 퍼트리고, 이를 진압한다는 명분으로 ‘계엄령’을 선포한 뒤 군·경과 민간인으로 구성된 ‘자경단’을 동원해 2만 3,000여 명 이상의 조선인을 집단 학살했다고 밝혔다. 

 

조선인에 대한 혐오를 앞세워 일본 정부가 저지른 대량 학살 범죄임이 명백하지만, 100년이 다 되도록 아직 진상규명조차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과거를 반성하지 않는 나라는 같은 잘못을 되풀이한다. 

 

지난 1964년 한일협정 반대 운동에 동참한 일본의 진보 진영은, 북과 중국 등 사회주의권에 대항하기 위해 자국이 미국과의 군사동맹을 강화하는 것에 대한 저항이었지, 조선 식민 지배에 대한 속죄나 배상에 대한 언급은 일본인 운동에는 없었다.

 

이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간토대지진 때 희생된 사이타마(埼玉), 군마(群馬), 가나가와(神奈川), 지바(千葉)현 등에 있는 위령비에는 학살의 책임자가 명시되지 않았다. 

대체로 “간토 지진에 즈음해 조선인이 동란을 일으켰다는 뜬소문에 의해 도쿄 방면에서 온 수십 명이 이 땅에서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라는 식이다.

 

후나바시 추모비2.jpg
일본 후나바시 간토대지진 희생동포 위령비 . 일본 지바현 후나바시 마고메 영원(靈園)에 있는 간토대지진 희생동포 위령비. 1947년 세워졌다가 1963년 이전됐다.

 

그런 가운데 76년 전 1947년 3월 지바현 서부 지역인 후나바시(船橋)에서 윤근 재일조선인연맹 위원장 주도로 추모식을 열고 비를 세웠는데 비문에는 “야마모토 군벌 내각이 조선인을 죽였다”라고 분명하게 쓰여 있다.

그리고 14년 전 2009년 8월 29일 도쿄 스미다구(墨田区) 야히로(八広)에 ‘간토대지진 때 한국 조선인 추도비’가 세워졌는데 이 추도비는 학살의 책임자를 분명히 기록했다. 

아래는 비문이다. 

“1923년 간토대지진 때 일본의 군대, 경찰, 유언비어를 믿은 민중에 의해 많은 한국 조선인이 살해됐다. 도쿄의 시민 주거지에서도 식민지하의 고향을 떠나 일본에 와 있던 사람들이 이름도 남기지 못한 채 귀중한 생명을 빼앗겼다.  이 역사를 마음에 새겨 희생자를 추도하고 인권 회복과 두 민족의 화해를 염원하며 이 비를 세운다.”

 

 

삭제하시겠습니까?
취소
사진 및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용량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취소

오피니언

[기고]  통이 큰 여걸 안경자 여사를 추모하며

한찬욱 (사월혁명회 사무처장)

2023.09.22

오피니언

임시대대 ‘정치방침’ 통과 후의 과제 (1)

안길성 (노동운동가)

2023.09.21

세계는 경탄하며 혹은 질시하며 조-러 정상회담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보게 될 것이다

전국노동자정치협회

2023.09.15

오피니언

비정규직, 중소영세, 미조직 노동자들의 절박한 요구를 걸고,  윤석열 정권 퇴진 투쟁에 함께 나서자!

 김수억 (비정규직 이제그만 공동투쟁 공동소집권자)

2023.09.15

오피니언

[기고] 세계혁명의 진앙 라틴 아메리카 

- 살바도르 아옌데 50주기에 부쳐 -

한찬욱 (사월혁명회 사무처장)

2023.09.12

오피니언

바이든을 아버지로 기시다를 형님으로 삼은 윤석열

김장민 정치경제학연구소 프닉스 연구위원(정치학 박사)

2023.09.10

오피니언

[기고] 브릭스 정상회담과 새로운 금융 질서 

 한찬욱 (사월혁명회 사무처장)

2023.09.06

오피니언

윤석열의 '공산전체주의'와 자칭 코뮤니스트의 '국가자본주의론'

백철현 (전국노동자정치협회)

2023.08.31

[기고] 간토대지진 학살 원흉은 일본 정부다!

 한찬욱 (사월혁명회 사무처장)

2023.08.31

오피니언

[기고] 일본 핵오염수 해양투기 공범 윤석열과 배후 바이든

한찬욱 (사월혁명회 사무처장)

2023.08.27